호텔 이야기/마이크 생각 11

KOREAN 타이틀을 땐 다는 의미 (Feat. 해외호텔)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정말 오랜만에 포스팅을 하네요.새로운 글을 올릴 때마다 너무 주기가 길어지는 것 같아요. 게으름 병을 어떻게 극복해야할 지 고민 입니다. 이번에는 해외 호텔에서 근무하는 한국 호텔리어 분들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2017년 5월 기준, 한국관광공사의 “국민 해외여행객” 통계에 따르면 전년 대비 누적 19% 증가 하였답니다. 서민 경제가 힘들다는 이야기가 뉴스에 많이 나오고 하지만, 해외 여행하는 한국 분들이 여전히 많고, 매년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에요 전통적으로 한국인들이 많이 찾는, 유럽, 미주, 일본, 홍콩 뿐만 아니라, 최근 몇년 새 급 성장하고 있는 베트남 및 기타 동남아 휴양지들로 많은 분들이 떠나십니다. 이제는 세계 어디를 가도 한국 관광객이 없는..

취업, 이직 도우미 - 링크드인 (Linkedin)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제가 맨날 하는 이야기가 “호텔 선배들한테 들이대라, 정중하게 접근하면 받아주실 거다~” 인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접근하는 방법 중 하나에 대해서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링크드인 (LinkedIn) 이라고 들어보셨나요? 현업에 계신분들은 계정 하나 씩 가지고 계실 것 같은데, 예비 호텔리어들에게는 생소할 수도 있겠습니다. 페이스북이 개인적인 네트워크라면, 링크드인은 커리어 버전의 페이스북이라고 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거에요. 2002년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처음 설립된 링크드인은 현재 4억명의 회원을 거느린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여, 2016년에 마이크로소프트사에게 31조에 매각되었어요. 31조...상상이 안되는 금액이네요. 저는 2009년 켐핀스키 북경에서 근..

[호텔 멘토링] K-MOVE, 호텔 서비스업 멘토 활동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2017년 2월 28일에는 제게 뜻 깊은 날이었어요. KOTRA 가 주관하는 해외 취업 지원의 일환으로 K-MOVE 라는 프로그램을 운영하는데요, 2016년에 홍콩 무역관이 K-MOVE 센터로 지정되어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저는 호텔 서비스업 멘토로 선정 되어서 호텔업에 관심있는 학생들과 소통하는 일을 의뢰 받았죠. 작년 (2016년) 4월에는 해외 취업 설명회 형식으로 헤드헌팅 회사 대표, 컨설팅 회사 취업 경험자와 함께 홍콩 호텔 취업에 대한 이야기를 나눴었죠. 하지만 그 때는 특정 분야에 대한 것이 아닌, 포괄적인 내용의 것을 다뤘기 때문에, 참가한 학생들 중에서 호텔에 관심있는 인원이 거의 없었어요. 참석율도 시험 기간이라서 저조한 편이었고요. 하..

[마이크 생각] 새로운 기회를 맞이 하는 자세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연말 연시에 한 해를 돌아보고 다음 해를 계획하다 보면 직장에 대한 생각도 많이 드는 데, 이직 관련 글을 보고 영감을 받아서 제 생각을 공유해 보고자 합니다. 참고글: When Opportunity Knocks (링크) * * * * * * * * * * * * * * * * 많은 직장인들은 이직을 위한 새로운 기회를 찾는 것을 즐기지 않는다. 매일 매일 가슴속에 사표를 품고 일한다는 사람들도, 막상 이직 준비를 위한 실질적인 행동을 취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다. 새로운 일을 찾아가는 과정에는 많은 시간과 에너지가 소비되는 건 사실이다. 그래서 많은 이들이 지금 하고 있는 일이 나에게 맞는 것인지, 장기적으로 성장 가능성이 있는 일인지 조차 생각하지 않고, 하루 하..

[마이크 Q&A] 영문과 전공자의 스위스 호텔학교 PGD 과정 고민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페북 페이지를 통해서 고민상담을 해주신 분이 있는 데, 혹시 관심 있으신 분들이 있을까봐 포스팅해 봅니다. 한국 대학에서 영문과를 졸업하신 여성분! 영어를 지속적으로 사용하고, 차 후 업무랑도 연관 시키고 싶어서, 어학연수 대신 스위스 호텔학교 1년 단기 프로그램인 PGD (Post Graduate Diploma/ 준석사 과정 - 반년 이론 + 반년 실습) in Hotel Management 에 관심을 가지고 고민을 나눠주셨는데요. 제가 졸업 한 SHMS 를 찍어서 문의 하셔서, 자세한 사항은 특정 학교에만 적용될 수 있을 수도 있어요. 예비 호텔리어 분께서 너무 현실적이고 자세한 질문들을 해 주셔서 실제 질의응답 내용을 정리만 했습니다. Q. PGD 과정 후 인턴쉽..

[마이크 서비스 철학] 고객 서비스라 함은 고객들이 경험/추억을 즐겁게 만들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몇일 전에 있었던 일화를 소개해 드리고자 글을 씁니다. 제가 호텔의 유일한 한국인 (은 아니고 사무직) 이다보니, 세일즈 업무 뿐만 아니라, 고객설문조사 번역도 도와줘요.하얏트 브랜드에서는 Hysat 이라고 해요 (Hyatt Satisfactory 의 줄임말인듯) 최근 피드백 중에서 다른 건 다 좋은데 홍콩에만 파는 밀크티를 놓고 왔다며 아쉬워 하시는 손님이 있었어요. 그냥 전 내용만 번역해서 프런트 팀에 넘겼죠. 다음 날 Front Office Manager 한테 연락이 따로 오더군요. 어떤 밀크티인지 알아봐줄 수 있냐고요.제가 네이버를 통해서 찾아보니, 한국분들이 자주 사가시는 종류의 밀크티백이 있더라고요. 사진 캡쳐해서 알려 줬더니, 아래 사진 고객님한테 보내서..

[마이크 공감] 성공한 호텔 CEO들: 무엇에 직면해 있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재미있는 기사가 있어서 공유하고자 합니다.[eHotelier: Successful hotel CEOs: what it takes; what they face) Mandarin Oriental, Starwood Hotels and Resort, Jumeirah, Caesar’s Entertainment 가 가진 공통점이 무엇인지 아시나요? 바로 지난 12개월 안에 CEO 가 바뀐 호텔 체인들 입니다. 항상 본인이 투자한 회사가 성장하는 것만 보고 싶어하는 주주들은 시간이 지날 수록 더 CEO 들의 실적을 눈에 불을 키고 지켜보고 있죠. 상대적으로 잠잠했던 2014년과는 상이하게 2015년에 유난히 세계 50대 호텔 기업의 수장들이 바뀌는 비율이 증가하였는데, 이 것은 ..

[마이크 공감] 좋은 호텔리어의 요건: S.N.A.P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작년 연말에 eHotelier 에서 봤던 좋은 글을 번역했던 것을 공유하고자 합니다.(출처: eHotelier - Good Hoteliers must have S.N.A.P - 링크) 교과서적인 이야기로 들릴지 모르지만 실제 업무 현장에 있다보면 간과하기 쉬운 부분을 잘 집어 주는 글입니다. 살짝 길기는 하지만 읽어볼만 해요. 귀찮으신 분들을 위해서 간략히 요약을 해봤습니다. 진정한 호텔리어는 성공(돈)에 대한 초점보다는 사람들을 기분좋게 만들어 주는 데서 오는 보람에서 동기부여를 얻는다“Excellence” 를 목표로 하는 것 자체가 주 업무라고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을 향해가는 과정 자체가 생활이 되어야 한다.**우리가 항상 호텔리어는 일을 즐기지 못하면 버티..

[마이크 생각] 조금 천천히 가도 된다. 하지만 사람의 끈은 놓지말자!

안녕하세요, 호텔리어 마이크 입니다. 페북 페이지: 2월 15일 글 ==조급증== 어제 아주 미래가 촉망하고 열정으로 불타는 20대 중반 호텔전공 대학원생을 (A 군이라고 하죠) 만나 저녁을 함께 했습니다. 홍콩에 있는 대학에서 일반 경영학을 전공한 친구인데, 작년 여름 시즌에 그 친구가 저희 호텔 프런트에서 알바(시급으로)를 몇 달 하면서 인연을 맺게 되었죠. 미래 지향적으로 열심히 달려가는 친구라서 저도 에너지를 받는 친구였어요. 군대도 갔다오고, 대학 졸업 후 스위스에 있는 좋은 대학원에 진학해서 교환 프로그램으로 홍콩에 몇달 거주 하는 사이에 다시 재회를 했습니다. A 군과 호텔업/ 졸업 후 진로에 대해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아직 대학원 졸업할 라면 1년 반이나 남았는데, 벌써 졸업..